티스토리 뷰

반응형

 

서기관은 행정직 공무원 중 고위 간부로 진입하는 핵심 직위입니다. 많은 공무원들이 목표로 삼는 자리인 만큼, 급수는 어떻게 되는지, 연봉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실제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서기관에 대한 모든 정보를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1. 서기관 급수

서기관은 일반직 공무원 중 4급에 해당하는 직급입니다.

중앙부처와 광역지자체에서 과장급 또는 그 이상 직책을 맡습니다.

실무 담당자인 사무관(5급)보다 한 단계 위의 관리자급입니다.

 

9급부터 시작해 서기관까지 승진하면 총 5단계를 거치는 셈입니다.

서기관 위에는 부이사관(3급), 이사관(2급), 실장(1급) 등의 고위공무원이 있습니다.

사실상 고위직으로 가는 입구이며, 엘리트 코스의 상징이라 볼 수 있습니다.

 

 

2. 서기관 월급

서기관 1호봉 기준 기본급은 약 280만~300만 원 수준입니다.

여기에 정근수당, 직책수당, 초과근무수당 등 다양한 수당이 포함됩니다.

실수령 월급은 약 400만~500만 원 수준으로 형성됩니다.

 

근무 경력이 많아질수록 기본급 자체도 상승하기 때문에 월급 차이가 커집니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별정직급과 유사하게 책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국 단위 조직의 예산 집행과 인사 권한도 갖고 있는 만큼 급여도 고위급입니다.

 

 

3. 서기관 연봉

서기관의 연봉은 실수령 기준 약 6,500만~8,000만 원 선입니다.

명절수당, 연가보상비, 성과상여금 등을 포함하면 9,000만 원 이상도 가능

경력 25년 이상의 서기관은 연간 실수령 1억 원도 가능성이 있습니다.

 

성과급, 초과근무수당, 직책급 수당이 고정급 외에 상당한 비율을 차지합니다.

실장급 서기관이나 본청 과장급은 기관 내 실질 리더로 인정받습니다.

즉, 급여와 권한 모두 공무원 중 상위권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사무관, 급수부터 연봉·지위까지 한눈에 파악!

📋 목차사무관 급수사무관 승진기간사무관 월급사무관 연봉사무관 연금사무관 파워 및 지위 어느 정도일까? 공무원 조직에서 사무관은 실무 리더 역할을 맡는 중요한 계급입니다. 일반직 공무

4jsm.com

 

 

4. 서기관 연금

서기관은 공무원연금 대상이며, 퇴직 시 안정적인 연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30년 이상 재직 시, 평균적으로 월 230만~280만 원 수준의 연금이 지급됩니다.

정년은 일반직 기준으로 만 60~61세까지 보장됩니다.

 

연금 수령은 정년퇴직 이후 매달 정기적으로 입금되며, 유족연금 제도도 존재합니다.

퇴직 당시 평균 보수월액과 재직 연수에 따라 연금액이 달라집니다.

명예퇴직 시에도 일정 조건 충족 시 연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5. 서기관까지 몇 년 걸릴까?

9급 공채 출신은 평균적으로 25~30년 정도 소요됩니다.

7급은 약 20~25년, 5급 공채(행시)는 15년 내외로 승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무관(5급)에서 서기관(4급)까지는 통상 7~10년이 걸립니다.

 

고위직 승진은 성과, 인사평가, 정치적 환경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중앙부처보다 지방직에서 비교적 승진 가능성이 높기도 합니다.

기획·예산·인사 부서 경력자들이 승진에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5.1. 9급 공채도 서기관이 될 수 있을까?

물론 가능합니다. 다만 긴 시간이 걸리고, 매우 성실한 경력 관리가 요구됩니다.

실제 서기관 중 상당수가 9급 출신으로, 차근차근 승진해 올라간 사례입니다.

성과평가, 교육 이수, 보직경험 등을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지방직에서의 서기관 승진률이 국가직보다 높은 편입니다.

정년까지 근무한다는 전제하에 현실적으로 가능한 목표입니다.

최근에는 인사 제도 개편으로 승진 기회가 조금씩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6. 서기관 파워

서기관은 실·과장급 관리자 직책으로 조직 내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예산 편성, 정책 기안, 인사 추천 등 기관의 실질적 운영에 관여합니다.

부하직원(6~9급) 및 사무관(5급)들을 지휘하는 위치입니다.

 

부처, 지자체에서 공식적인 '과장님'으로 불리며 대내외 위상이 높습니다.

정책 결정 단계에서 핵심 의견 조율자 역할도 맡습니다.

상위직(부이사관, 국장 등)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요구되며, ‘실세 관리자’로 불리기도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Total
Today
Yesterday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