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연구교수는 정규 교수진과는 다른 계약직 기반의 직책으로,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전문 연구를 담당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하지만 그에 비해 많은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는 것이 현실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연구교수의 업무, 급여, 정년, 겸직 여부, 그리고 현실적인 이야기를 모두 풀어드립니다.

 

 

 

1. 연구교수 하는 일 뭘까?

연구교수는 주로 특정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이를 주도하며 연구를 수행합니다.

일반 교수처럼 강의 의무는 거의 없거나 일부만 부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책 과제, 산학협력 연구, 기업체 위탁 과제 등을 중심으로 활동합니다.

 

연구실 운영, 후속 연구 기획, 논문 게재, 특허 출원 등 실적 중심의 업무가 많습니다.

학생 지도보다는 연구과제 수행이 주된 임무이며, 실험·분석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 성과에 따라 다음 계약 여부나 연구비 지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연구교수 월급 얼마나 될까?

연구교수의 월급은 대학, 연구소,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국립대 기준, 월 평균 300만~450만 원 수준에서 형성됩니다.

대형 과제를 담당하거나 산업체 위탁 과제 수행 시 월 500만 원 이상도 가능합니다.

 

신규 계약일 경우 280만 원 수준에서 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월급은 프로젝트 예산 범위 내에서 조율되며, 외부 평가에 따라 인센티브가 추가되기도 합니다.

계약직 신분이므로 4대 보험 가입 여부도 계약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연구교수 연봉은 어느 정도일까?

연구교수의 평균 연봉은 3,600만~5,500만 원 수준입니다.

박사급 연구자일 경우, 연구비 규모에 따라 최대 6,000만 원 이상도 가능합니다.

산학협력단 소속일 경우 별도 인센티브, 기술료 분배 등으로 실수입이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계약 기간은 대부분 1년 단위이며, 재계약 여부에 따라 연속성이 결정됩니다.

성과 기반 보상이기 때문에 논문 수, 과제 수주 실적 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강의 부담이 없지만 급여와 처우는 정규 교수보다 낮은 편입니다.

 

 

 

 

📊 8급 공무원 진급부터 연봉까지 전부 알려드립니다!

📋 목차8급 공무원 진급은 언제?8급 공무원 월급8급 공무원 월급 실수령액8급 공무원 월급명세서8급 공무원 연봉8급 공무원 연봉 실수령액8급 공무원 10년차 연봉은? 8급 공무원은 9급 공무원보다

4jsm.com

 

 

4. 연구교수 겸직 될까?

연구교수는 일정 범위 내에서 겸직이 가능합니다.

대학의 겸직 승인 절차를 거쳐 외부 강의, 자문, 기업 연구 활동 등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단, 계약서 또는 연구비 집행 규정에 따라 겸직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겸직 승인 없이 외부 활동 시 계약 해지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소속 기관장의 사전 동의를 받으면 제한적으로 허용됩니다.

학술지 편집위원, 정부 위원회 활동 등은 겸직으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5. 연구교수 정년은 몇 살일까?

연구교수는 대부분 비정년 트랙으로, 정해진 정년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계약직이므로 계약 종료 시 자동 퇴직되며, 재계약이 없으면 더 이상 재직할 수 없습니다.

정규 교수와 달리 정년 65세 또는 70세 규정을 적용받지 않습니다.

 

일부 대학에서는 내부 규정에 따라 만 60세 전후를 계약 종료 시점으로 삼는 경우도 있습니다.

연구성과와 재정 확보 능력만 있다면 고령 연구교수도 활동이 가능합니다.

정년이 없다는 점은 유연하지만 동시에 고용 안정성이 낮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6. 연구교수 현실은?

연구교수는 교수라는 타이틀이 있지만,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이라는 점에서 고용 불안이 큽니다.

성과 압박이 크고, 과제 확보 실패 시 재계약이 어려운 구조입니다.

정규 교수와 비교해 복지나 지위, 의사 결정권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반면, 강의 부담이 적고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우수한 연구 성과를 쌓으면 정규 교수 채용 시 우대받을 수 있는 기회도 생깁니다.

결국 연구교수는 ‘자율성과 불안정성’이 공존하는 포지션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Total
Today
Yesterday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