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일반의와 전문의, 전공의, 심지어 의원까지… 의사 관련 용어는 알고 보면 헷갈리는 게 많습니다. 특히 동네 병원 간판만 봐서는 구분하기도 어려운데요. 오늘은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부터 연봉, 간판 구별법, 전공의 개념까지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일반의 전문의 차이가 뭐가 있을까?

✔ 일반의는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를 합격한 의사를 말합니다.

✔ 전문의는 일반의 자격을 가진 후 4~5년간 특정 과 수련을 마치고 시험에 합격한 의사

✔ 예) 내과 전문의, 외과 전문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등

 

✔ 일반의도 진료 가능하지만 진료 범위가 넓고 깊이는 부족

✔ 전문의는 해당 분야에서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음

 

 

2. 일반의 전문의 간판 구별 방법

✔ 병원 간판에 ‘전문의’ 또는 'OO과 전문의'라고 표기돼 있다면 전문의입니다.

✔ ‘가정의학과’라고만 써 있고, 전문의 표기가 없다면 일반의일 수 있습니다.

✔ 진료과명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전문의는 아닙니다.

 

✔ ‘○○전문의’는 병원 간판에 명시 가능하지만 허위 표기는 의료법 위반입니다.

✔ 진료실 내부 자격증 게시 여부를 확인하면 정확합니다.

 

 

3. 의원은 전문의가 아닐까?

✔ '의원'은 병원의 형태를 말하는 용어로 개원의 형태를 지칭합니다.

✔ ‘의원’ 간판이 붙었다고 해서 일반의인지 전문의인지 판단 불가

✔ 실제로 많은 의원은 전문의가 운영 중입니다.

 

✔ 예: ○○가정의학과의원, ○○이비인후과의원 등

✔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의원 개원은 가능합니다.

 

 

4. 일반의 전문의 연봉 차이

✔ 일반의 평균 연봉: 약 1억~1.5억 원

✔ 전문의 평균 연봉: 약 1.8억~3억 원 이상

✔ 인기 과(피부과, 성형외과 등)는 연 5억 이상도 가능

 

✔ 같은 개원의라도 전문의는 브랜드·신뢰도 측면에서 유리

✔ 일반의는 진료 과목 제한 없어 초기 진입 용이

 

 

 

 

🩺 전공의(인턴·레지던트·펠로우) 월급과 차이점 완벽 정리

📋 목차전공의 인턴 레지던트 무슨 차이?의사 인턴 월급전공의 월급대학병원 전공의 월급전공의 연봉전공의 월급 순위펠로우 월급은 얼마일까?의사가 되는 과정 중에서 '인턴', '레지던트', '펠

4jsm.com

 

5. 전공의 전문의는 무슨 차이일까?

✔ 전공의는 전문의가 되기 위해 수련 중인 레지던트를 말합니다.

✔ 레지던트 1~4년차까지 전공의로 병원에서 근무하며 교육을 받습니다.

✔ 전문의는 수련이 끝난 후 자격시험에 합격한 의사입니다.

 

✔ 전공의는 수련 중이기 때문에 정식 자격 보유 전 단계

✔ 전문의는 병원 개설 및 특정 진료 광고 가능

 

 

6. 치과 일반의 전문의는 무슨 차이일까?

✔ 치과의사도 일반의와 전문의로 나뉩니다.

✔ 치과 일반의: 치대 졸업 후 면허 취득한 의사

✔ 치과 전문의: 2~3년 레지던트 수련 후 전문의 시험 합격

 

✔ 예: 교정과, 구강악안면외과, 소아치과 전문의 등

✔ 일반 치과의원도 대부분 일반의지만, 교정전문의 간판은 명확히 구별 필요

반응형
반응형
Total
Today
Yesterday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