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공무직은 ‘무기계약직’으로 불리는 안정적인 직군으로, 별도 임용시험 없이 채용되어 정년이 보장됩니다. 공무원과 혼동되기 쉽지만 임용 방식과 처우가 다르며, 각 기관별로 업무와 급여도 다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무직의 채용 방식부터 월급, 임금표, 현실적인 차이까지 모두 살펴보겠습니다.

 

 

 

1. 공무직 채용 되는법

✔ 공무직은 지자체, 공공기관, 정부 부처 등에서 수시 채용 형태로 모집합니다.

시험보다는 서류+면접 중심이며, 일부 기관은 필기시험도 포함합니다.

✔ 취업포털, 공공기관 홈페이지, 나라일터에서 채용공고 확인 가능

✔ 고졸, 전문대졸 이상 학력 제한은 없지만 자격증 우대가 많은 편입니다.

✔ 채용 시 지방 거주자나 취약계층 가점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2. 공무직 종류

✔ 대표적인 공무직 직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청사관리, 시설관리, 주차관리

- 사무보조, 행정보조, 자료입력

- 조리원, 환경미화원, 운전원 등

기관 특성에 따라 직무의 폭이 다양하며, 일부는 현업직군입니다.

✔ 일부 부처는 기술직, 전산직, 연구보조 등 전문직군도 포함됩니다.

 

 

3. 공무직 월급

✔ 초임 기준 월 190만~230만 원 수준입니다.

✔ 기본급 + 정근수당 + 직무수당 + 명절상여 포함

✔ 시간외 근무, 야간, 주말 수당에 따라 월 실수령액 차이 큼

✔ 근속 5년 이상 시 월 250만 원 이상도 가능

 

 

4. 공무직 연봉

✔ 초임 기준 연봉은 2,500만~2,800만 원 내외

✔ 5년차 이상 근무 시 3,200만~3,500만 원 수준

✔ 10년차 이상은 최대 3,800만~4,000만 원대

✔ 정근수당과 명절 상여금 등은 연봉 외에 별도 지급

✔ 정년 보장과 각종 복지를 감안하면 안정적 수입 구조입니다.

 

 

 

 

🏛 공무원 근속승진 기간부터 누락 사유까지 완벽정리

📋 목차공무원 근속승진 기간 어떻게 될까?공무원 근속승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은?공무원 근속승진 누락되는 이유는?9급에서 6급 승진기간은?공무원 9급에서 5급까지 소요기간은?7급에서 6급

4jsm.com

 

5. 공무직 호봉제 임금표

✔ 공무직은 대부분 호봉제를 따르며 매년 1호봉씩 상승합니다.

✔ 중앙정부 기준 공무직 임금표(2024년 기준 예시):

- 1호봉: 약 1,920,000원

- 10호봉: 약 2,680,000원

- 20호봉: 약 3,300,000원

✔ 직군과 직무, 부처에 따라 별도 호봉표 적용되기도 함

 

 

6. 공무직 공무원 차이

✔ 공무원은 국가공무원법에 의해 임용되며, 시험 합격 후 임용

✔ 공무직은 무기계약직으로 정년이 보장되지만 법적으로는 공무원이 아님

호봉제, 복지, 연금 등에서 차이 존재

✔ 공무원은 승진 구조가 명확하지만, 공무직은 수평적 구조입니다.

✔ 공무직은 국가직도 있지만 대부분 지방직이 많음

 

 

7. 공무직 현실

정년 보장과 월급의 안정성은 큰 장점

✔ 승진 기회는 없고, 업무가 반복적이며 변화가 적은 경우 많음

공무원과 동일 장소 근무하나 대우 차이로 인한 소외감 존재

✔ 일부 기관은 공무직을 서무, 민원 응대 등 잡무 담당자로 활용

✔ 안정성은 크지만, 도전보다는 정착을 원하는 이들에게 적합

 

 

반응형
반응형
Total
Today
Yesterday
글 보관함